해방 직후의 공자묘는 ‘근대’와 ‘전통’의 갈등, 정치적 향방의 모색이란 소용돌이 속에 놓여졌다. 정치적 이념이나 사회적 시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공자묘의 정체성 역시 시류에 따라 불안정한 상태에 몰렸다. 심지어 그 존속을 둘러싼 회의적 시선들이 공자묘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1947년 7월 5일 경상북도 도지사는 공자묘의 석전 행사에 참가해, 경상북도 내에서 대구를 제외하고는 석전 의례를 폐지하겠다고 선언했다.(1947년 7월 18일 동아일보) 이 소식이 전해지자 각 지역의 공자묘에서는 ‘공자묘 석전 폐지 철폐 운동’이 벌어졌지만, 정치적 상황은 공자묘에게 더욱 불리하게 돌아갔다. 신생 국가로 탄생한 대한민국 정부가 ‘단군기원’을 연호로 사용하겠다고 정한 것이다. 정부는 새롭게 태어난 대한민국 국민을 향해 ‘민족의 위대함’을 강조하고, 공문서에서는 한글을 사용하며, 단군기원을 연호로 사용하는 등 국가 건설에 민족주의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이러한 정부 방침은 ‘중국’에서 유래한 공자묘의 입장을 한층 악화시키는 요인이 됐다. 류미나, 2015, ‘공자묘’, “동아시아 기억의 장”, 역사비평사, 166쪽.
'대구광역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현대사특강 역사에서 길을 찾다(상주) (0) | 2015.09.03 |
---|---|
매일신문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사 (0) | 2015.08.31 |
허씨 재실 용강서원 (0) | 2015.07.24 |
낙음 도경유와 취애 도응유를 모신 성주 도씨 집안의 병암서원 (0) | 2015.07.24 |
나는 어쩜, 김광규의 시처럼 '묘비명' 짓는 건 아닌지? (0) | 201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