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매일신문 밑줄 쫙∼대구 역사 유물 관련기사 리스트

시골(是滑) 2015. 5. 19. 11:35
<밑줄 쫙∼대구 역사 유물> 관련기사 리스트입니다.  
 
50 . 숱한 일화 남긴 공산전투…기병 주력 왕건 부대 산속... 2014-06-28 07:41:28
임진왜란 때 가장 실패한 작전으로 신립 장군의 탄금대 배수진을 든다. 이 전투의 패배로 조선은 단 5일 만에 한양을 내주게 된다. 견훤과 왕건의 초기 대결인 공산(公山)전투에서 비슷한 사례와 만나게 된다. 당시에 삼국 패권을 다투던 두 군벌(軍閥)의 세력은 비슷했던 것 같다. 오히려 전투 중에 ...
49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26)대구는 후삼국 격전지... 2014-06-28 07:38:59
고대 신라와 대구의 관계처럼 미묘한 관계도 드물다. 때론 우방으로, 침략자로 때론 군사적 동맹으로 복잡다단한 관계를 맺어왔다. 일찍부터 국제도시로 성장한 신라는 군사, 문화, 경제적으로 주변 국가를 압도해가며 삼국 통일의 야심을 키워갔다. 신라의 정치, 외교 그 중심엔 항상 대구가 있었다. ...
48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25)해프닝으로 끝난 신라... 2014-06-21 08:00:00
천도(遷都)는 천도(千道)중에 천도(天道)를 찾는 일? 국가의 통치 행위 중에 도읍을 옮기는 일처럼 복잡한 정치 행위가 있을까. 왕조 존립 차원의 국정 변화나 국난(國難) 같은 사유로 수도 이전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보통 천도는 고도의 정치적 목적에서 추진되는 것이 보통이다. 우리 역사를 통...
47 . 통일신라 새 수도 '달구벌' 이면엔… 2014-06-21 08:00:00
신라는 오늘날의 경주에 뿌리를 둔 초기국가 사로국에서 출발, 마침내 왕조 국가로 발전하여 천 년을 유지하였다. 세계사적으로 볼 때 그처럼 오래 지속된 국가 가운데 왕도를 한 번도 옮긴 경험이 없는 거의 유일한 나라가 신라이다. 이는 곧 바깥으로부터 가해진 위협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의미이...
46 . 서변동, 논도 있어요…쟁기 흔적·고대인 발자국, 삼... 2014-06-14 07:09:26
/쟁기 흔적`고대인 발자국/삼국시대 농사 현장 생생 대구의 삼국시대 논 유적 발굴 중 또 하나의 성과는 서변동 유적이다. 2007년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한 이 유적에서는 삼국시대 논의 구획 형태와 우경(牛耕) 흔적이 발견돼 당시 농경에 대한 생활 흔적을 들여다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고 ...
45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24)동천동, 서변동 삼국... 2014-06-14 07:07:13
북위 51도에서 남위 31도. 벼농사가 이루어지는 위도 경계다. 한국, 중국, 일본, 대만과 전 세계 35개국이 벼농사 벨트에 포함된다. 세계 인구의 40%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곡물 별 생산량에서도 밀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에서 벼는 음식, 식생활 수단 이상의 개념이다. 우리 세시...
44 . 한국 검 폭의 두배 '일본식 광형동과'…만촌동서 발견... 2014-06-07 07:19:15
철기시대 대구 유적, 유물을 정리하면서 덜컥 걸리는 게 있다. 심란한 이물감에 삼키지도 못하고 뱉지도 못하는 주인공, 바로 만촌동에서 출토된 ‘광형동과’(廣形銅戈)다. 광형동과란 이름 그대로 검신(劍身)이 넓은 검 양식을 말한다. 지난 회에서 언급한 대로 한국형 동검은 ‘세형’(細形)을 특...
43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23)대구의 철기시대 유적... 2014-06-07 07:16:30
동검(銅劍)은 찌르고 철검은 벤다. 철(鐵)의 압도적 우위, 무기로서 청동기`철기의 운명은 여기서 갈렸다. 찔림은 국부적 손상이고 베임은 치명적 상처이기 때문이다. 철은 지구 상에서 가장 흔한 광물이다. 지표면 근처에 얕게 묻혀 있고 매장량도 엄청나다. 그런데도 인류 문명의 이기(利器)로 먼저...
42 . "대구에서 '城' 은 '聖' 성읍 거주민 구심점"…영남문... 2014-05-31 07:10:21
“고대 대구에서 성(城)은 성(聖)이었습니다.” 대구경북지역에서 30년간 문화재 발굴 연구에 몰두해온 박승규 영남문화재연구원장으로부터 지역의 고대 성곽 얘기를 들어봤다. ◆대구 고대 성곽 특징은=대구에서 토성이나 성곽은 집단세력들의 권역`경계 표시이자 정치체제의 상징을 의미한다. 본질...
41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22)대구의 고대 성곽 2014-05-31 07:08:39
한반도는 항상 주변국의 제1 타깃이었다. 역사상 930회쯤 된다는 외침. 단순 계산으로 5년마다 한 번씩 전쟁을 치른 셈인데, 그래서 한반도에서 성(城)은 숙명이었다. 단순 통계로 남한의 성곽은 1천 개를 넘어선다. 거기에 북한, 만주, 요동반도에도 한국 성들이 남아있고 우리 손길이 닿은 일본 열...
40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21)삼국시대 대구에 성형... 2014-05-24 08:00:00
미(美)는 선(善), 추(醜)는 악(惡)? 추함이 죄악은 아니지만 적어도 인류를 어느 정도 불편하게 하는 건 사실인 것 같다. 미의 기준에 적합하지 못한 사람이 병자가 되고 근사한 몸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은 어느새 환자가 되어버렸다. 낮은 코, 돌출된 구강, 네모 턱, 빈약한 가슴은 ‘질병’으로 분...
39 . 고대의 편두, 그 목적은? 종교 의식·성형·신분 구별... 2014-05-24 08:00:00
남한에서 편두 유적이 확인된 곳은 모두 2곳, 대구와 김해뿐이다. 일본이나 중국에서도 흔적이 보이고 동북아, 인도, 시베리아, 이집트에서도 이 괴상한(?) 풍습이 확인된다. 세계적인 분포와 넓은 문화층을 형성했음에도 편두의 목적이나 효용에 대해 명백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있다. 비교적 이른...
38 . [기고] 도굴 상처로 얼룩진 고분군…박승규 영남문화... 2014-05-17 07:09:11
대구 칠곡 주민들이 즐겨 찾는 함지산. 시민들은 열심히 산을 오르지만, 그곳에 삼국시대의 큰 고분 150여 기가 군집을 이룬 사실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또 커다란 봉분마다 유물을 훔치려고 파헤친 도굴의 흔적이 파여 있음은 더욱 알지 못한다. 함지산의 ‘구암동 고분군’은 도굴 생채기에...
37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20>화원 성산리 고분군 2014-05-17 07:06:31
부족국가, 성채(城砦) 국가, 치프덤(chiefdom)으로도 불리는 성읍(城邑) 국가는 인구 1만 명 이하 소국(小國)을 말한다. 인구 3천 명쯤으로 추측되는 청동기 시대 부족단위와 1만, 2만 명 규모였던 삼한, 가야 소국의 중간쯤 단계다. 일반적으로 고대국가의 전 단계에 해당하며 여러 그룹의 소집단들...
36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19)불로동 고분군 2014-05-10 08:00:00
‘낙양성 십리 허(許)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불로동 고분군에서 ‘성주풀이’ 가사를 떠올렸다면 감정 과잉일까. 중국 허난(河南)성의 낙양시는 중국 최대의 고분군으로 유명하다. 청나라 때까지 수십만 기의 무덤이 쓰였다고 하니 ‘장송(葬送)의 언덕’이요 ‘무덤의 계곡’이라고 할만하다. ...
35 . 무덤서 상어 뼈 벌써 돔배기를?…숙성·염장 기술 자... 2014-05-10 08:00:00
선사시대 장례에 대한 기본 인식은 영혼 불멸의 내세관, 죽음도 이승에서 저승으로 공간 이동의 개념이었다. 고분에 수장되는 모든 부장품들은 이 사실을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의식주 생활 전반 부장품이 무덤으로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불로동 고분군에서 재미있는 부장품들이 있다. 무덤 한쪽에 ...
34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18)비산동 조형안테나식 ... 2014-05-03 08:00:00
1956년 대구시 와룡산 기슭에서 청동검이 도굴꾼에 의해 출토됐다. 이 동검들은 골동품상을 거쳐 은밀하게 유통되다가 한 수집상(호암미술관)의 손에 들어갔다. 이 칼 중 ‘조형안테나식동검’이 포함되었는데 이 검이 초기 철기시대 청동기 전파 경로를 밝혀줄 국보급 문화재였다. 길이 32.2㎝, 너비...
33 . 손잡이 청동, 칼날은 철기…고고학 발굴사 희귀 사례 2014-05-03 07:47:16
“기원 전후한 시기에 이미 대구는 유라시아를 연결하는 문화의 주요 교통로였습니다.” 김광명(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부터 이 유물에 대한 얘기를 들어봤다. ◆봉무동 산업단지 안테나검의 특징은=청동기에서 철기로 넘어가는 한반도 금속문화의 변이(變移) 과정이 칼 한 자루에 그...
32 . [밑줄 쫙∼ 대구 역사유물] <17>달성고분군 금동관 2014-04-26 08:00:00
올림픽 승자에게 월계관은 최고의 영예. 미인대회 의전(儀典)은 왕관 수여식에서 가장 빛난다. TV 사극 왕비 즉위식엔 화관(花冠)이 하이라이트다. 신체의 가장 중요한 부분에 얹혀지는 관은 장식 이상의 것이며 선민(選民)의식의 상징이다. 보통 사람과 구별하여 사회적으로 특별한 인물이라는 표시인...
31 . 신라 삼국통일 비밀은 외교…위기마다 나제동맹·나당... 2014-04-26 08:00:00
위두(衛頭)-눌지-소지왕-김춘추로 이어지는 신라 외교 진용은 삼국통일의 중요한 동력이었다. 신라의 통일 과정을 들여다보면 위기마다 적절한 ‘외교 묘수’로 난국을 타개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신라는 내물왕 2년(382년)에 위두를 전진(前秦)에 보내 중국과 첫 교통을 시작한다. 신라의 첫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