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18 정수암에서 김굉필 묘소와 도동서원, 그리고 정수암과의 관계를 생각하며 20150118 정수암에서 김굉필 묘소와 도동서원, 그리고 정수암과의 관계를 생각하며 능실 옆에 재사가 있는 것은 옛날부터 그러하였는데, 건원릉ㆍ현릉에는 개경사가 있었고, 제릉에는 연경사가 있었으며, 후릉에는 흥교사가 있었고, 광릉에는 봉선사가 있었으며, 경릉ㆍ창릉에는 정인사가 .. 달성군 2015.01.25
손필헌 선생의 번역 <<개화기의 대구부사>>(도서출판 서우실, 2009) 차례 원래 <<大邱府史>>(1943)는 제1 연혁편(1-293쪽), 제2 부정편(1-233쪽), 제3 특수편(1-256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필헌 선생의 번역책은 제3 특수편을 생략하였다. 특수편은 10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분지의 지형, 석기 시대의 대구, 대구의 지석묘, 대구의 고분, 대구 부근의 방언, .. 달성군 2015.01.25
대구부사 편찬 매일신보 19381129 19381129매일신보 大邱府史編纂 대구부사 편찬 매일신보 19381129 [대구] 조선을 웅도를 목표하고 약진도중인 대구부에서는 행정구역 확장을 예상하고 약진 대대구의 전모를 널리 강호에 소개코저 작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경성제대 조교수조선사편수관 촉탁 말송보화(末松保和, 스에마쓰 야.. 달성군 2015.01.25